목록전체 글 (214)
열심히 끝까지
32-1 ) Wrapper 클래스 Wrapper 클래스 ( 존재하는 클래스는 아님, 클래스를 묶어놓은 것 ) : 기본 자료형들을 객체로 다루는데 사용 일반 자료형 데이터를 객체로 변환하는데 사용 자바는 객체지향이므로, 객체 값을 다룰 일이 많기 때문에, 일반 자료형의 데이터를 객체로 변환하는 작업이 필요 기본 자료형 Wrapper 클래스 boolean Boolean 클래스 char Character 클래스 byte Byte 클래스 short Short 클래스 int Integer 클래스 long Long 클래스 double Double 클래스 float Float 클래스 * String 클래스는 기본 자료형처럼 사용되는 클래스 => Wrapper 클래스가 필요하지 않다. Wrapper클래스명 객체명 = ..
31-1 ) API란? JavaAPI(자바API)? API : Application(앱, 웹) Programming Interface 자바에서 개발자들을 위해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클래스 [http://docs.oracle.com/javase/8/docs/api/index.html] =>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클래스를 보여주는 곳 31-2 ) Object 클래스 Object 클래스? 모든 클래스의 조상클래스 모든 클래스는 Object 클래스의 필드를 상속받는다. ex) equals(Object obj), getClass(), toString() .... 31-3 ) 문자열 클래스 문자열 클래스? 문자열에 대한 다양한 처리를 위한 다양한 메서드가 정의된 클래스 종류 1) String 클래스 2) StringB..
-예외(Exception) : 프로그램 실행 중 발생하는 오류 중에서 처리 가능한 것을 의미 -예외처리(Exception Handling) : 예외가 발생했을 때 이를 적절히 처리하여 프로그램이 비정상적으로 종료되는 것을 막는 방법 30-1 ) 객체로서의 예외 *" 자바에서 예외는 Exception 클래스의 객체!"* - 자바는 객체지향 언어이기에 예외도 객체로 처리한다 - 모든 예외 클래스들은 Exception 클래스를 상속받으므로 Exception으로 처리 가능 - 예외 클래스들에서 Exception 클래스의 메서드 사용 가능 ex ) getMessage(), toString(), printStackTrace() ..... try{ 예외가 발생할 수 있는 명령; } catch(Exception e){..
29-1 ) 예외처리 (1) 예외 / 예외처리 개념 예외란? : 프로그램 실행 중 발생하는 오류 중에서 처리가 가능한 것을 의미 - 에러 : 개발자가 조치를 취할 수 없는 수준 ex ) 메모리 부족, JVM 동작 이상 - 컴파일 에러 : 컴파일 시 발생하는 에러 ex ) 오타, 잘못된 자료형 - 런타임 에러 : 프로그램 실행 도중에 발생하는 에러 - 로직 에러 : 실행은 되지만 의도와 다르게 동작하는 에러 - 예외 : 다른 방식으로 처리 가능한 오류 ex ) 입력값 오류, 네트워크 문제 예외에 대한 간단한 예시 코드 실습 예외처리(Exception Handing)란? : 예외가 발생했을 때 이를 적절히 처리하여 프로그램이 비정상적으로 종료되는 것을 막는 방법 예시 > 1. 입력오류? : 숫자 입력 해야 ..
28-1 ) 내부클래스 1. 내부클래스의 정의 내부클래스(Inner Class)란? : 클래스 내부에서 생성된 클래스 class OuterClass{ class InnerClass{ ... } } 내부클래스(Inner Class)의 사용 목적 : 클래스간의 관계가 긴밀할 때 사용하여 코드를 간결하게 하기 위해 사용 2. 내부클래스의 종류 * 내부 클래스는 선언된 위치에 따라 - 인스턴스 클래스 - 스태틱 클래스 - 지역 클래스 - 익명클래스 로 구분 1. 인스턴스 클래스(Instance 클래스) - 외부 클래스에서 멤버변수 위치에 선언 - 클래스의 내무에서 인스턴스(객체)멤버처럼 다뤄지며, 인스턴스 멤버들과 상호작용 가능 class outerClass{ class InnerClass{ .... } } 2..
27-1 ) 인터페이스 (1) 인터페이스의 정의 인터페이스(interface)란? : inter(사이의) + face(마주하다)의 합성어로 물체들 사이에서 상호작용 할 수 있도록 하는 매개 역할 : 클래스 - 설계도 인터페이스 - 규격 ex) 핸드폰에는 필수적으로 들어가야 할 기능 -> 그 것을 인터페이스로 만들어 놓는다면 앞으로 만들어질 폰에 다 들어가 있기 한다. (2) 인터페이스의 문법 인터페이스의 멤버 - 상수 : final 타입 변수명 = 값; - 추상 메서드 : abstract 리턴 타입 메서드명(); 인터페이스 구현 방법 interface 인터페이스명{ 필드 }; 클래스로 인터페이스 구현 interface 인터페이스명{ } class 클래스명 implements 인터페이스명{ 추상 메서드 구..
[8일차 수업내용] 1. 제어자 2. 다형성 ============================================================= 1. 제어자 ( modifier ) 1-1 ) 제어자란? - 제어자란 클래스, 변수 또는 메소드의 선언부에 함께 사용되어 부가적인 의미를 부여 - 제어자의 종류는 크게 접근제어자와 그 외의 제어자로 나눌 수 있음 접근제어자 public, protected, (default), private 그 외 제어자 static, final, abstract, transient, synchronized .... - 제어자는 클래스나 멤버변수와 메소드에 주로 사용하며, 하나의 대상에 대해서 여러 제어자를 조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 - 단, 접근제어자는 한번에 4가..
26-1 ) 추상 메서드와 추상 클래스 (1) 추상 메서드 : 추상 메서드는 선언부만 정의하고 구체적인 내용은 비워놓는 메서드 주의 할 점 - 추상 메서드가 있는 클래스를 상속받는 자식클래스는 반드시 부모 클래스의 추상 메서드를 구현해야 한다! 추상 메서드 구현 방법 abstract 리턴타입 메서드명(); - 구현하지 않으므로 {} 생략하고 ;으로 마무리 (2) 추상 클래스 : 추상 클래스는 추상 메서드를 멤버(필드)로 갖는 클래스 주의 할 점 - 추상 클래스는 일반 메서드 필드에 존재 가능 - 단, 추상 메서드를 하나라도 포함해야 한다 - **객체를 생성할 수 없다** 추상 클래스 구현 방법 abstract class 클래스명{ ... abstract 리턴타입 메서드명(); } - 구현하지 않으므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