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심히 끝까지
3강 변수와 상수 본문
3-1) 변수란
1) 변수의 정의
값을 저장하는 공간
2) 변수에 값 저장하는 방법?
변수 = 값;(연산자 파트에서 대입 연산자)
=> 오른쪽 값을 왼쪽에 저장
3) 변수의 특징
- 하나의 변수에는 하나의 값만 저장 가능
- 변수에 저장된 값은 변경할 수 있음.
4) 변수 사용 이유?
왜 값을 저장해서 하는가?
- 간편한 수정이 가능(변수는 변경되도 쉽게 수정 가능)
- 다음 명령에서의 기억(이전 명령에서 했던 것을 기억해서 출력)
- 값에 의미 부여(변수를 만들어 의미를 부여)
5-1) 변수명 작성 시 주의사항
- 숫자로 시작할 수 없음. (ex. name="홍길동"; name2="영희";
- 특수문자 사용이 불가능, $와 _만 가능
- 대소문자를 구분(name 과 NAME은 다른 변수)
- 이미 사용하고 있는 예약어는 사용할 수 없음
5-2) 변수명 작성 방법의 종류
- 헝가리안 표기법
: 변수에 자료형을 구분할 수 있는 접두사 달아 표기
ex ) int num; --> int iNum;
- 카멜 표기법
: 두 개 이상의 단어가 사용될 경우, 두번째 단어의 시작은 대문자
ex ) int newName
- 파스칼 표기법
: 클래스명 작성 시, 모든 단어의 첫 글자는 대문자
ex ) class MyClass
6) 변수 선언과 초기화
- 변수의 선언 방법
자료형 변수명;
*어떤 값을 저장하냐에 따라 변수의 크기가 다름*
3-2) 자료형(Data Type)
1) 자료형이란?
: 자료(data)가 가질 수 있는 정수, 실수, 문자, 논리 등의 형식을 의미
2) 자주 사용할 데이터 타입의 종류
1byte = 8 bit
비트(bit) : 데이터의 최소 단위(1 혹은 0 이 올 수 있는 한 자리)
바이트(byte) : 비트 8개가 모인 것
형식 | 자료형 | 바이트 | 예시 |
정수형 | int(기본), long, short | 4, 8, 2 | 1, 0, -1, 2, 100 |
실수형 | float, double(기본) | 4, 8 | 3.14f, 3.14 |
문자형 | char | 2 | 'a', 'A' |
문자열 | String(앞글자 대문자) | ? | "hello", "A" |
논리형(참,거짓) | boolean | 1(참 : 1, 거짓 : 0) | true, false |
3-3) 형변환
1) 형변환이란?
: 변수나 상수의 데이터 타입을 다른 타입으로 변환하는 것
2) 형변환의 종류?
- 자동 형변환(묵시적 형변환)
: 자동으로 타입이 변환되는 것
- 명시적 형변환
: 코드 상으로 강제로 형식을 변환시키는 것
* 강제형변환 방법?
(자료형)변수명;
3-4) 변수의 상수화
1) 상수란?
: 항상 유지되는 수(변하지 않는 수)
2) 변수의 상수화
: 변수에 저장된 값을 변경하지 않고 상수처럼 사용함
3) 상수화 방법
"final 자료형 변수명 = 값;"
-> final의 변수명은 모든 글자를 대문자로 지정
: 가독성을 위해
'멘토씨리즈 JAVA' 카테고리의 다른 글
6강 연산자3 (0) | 2022.04.21 |
---|---|
5강 연산자2 (0) | 2022.04.21 |
4강 연산자1 (0) | 2022.04.20 |
2강 출력 메서드와 입력 메서드 (0) | 2022.04.20 |
1강 자바의 시작 (0) | 2022.04.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