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심히 끝까지
4강 연산자1 본문
4-1) 연산자의 종류와 우선순위
1) 연산자의 정의
연산을 하는 문자
ex) 2+3
=> + : 연산자
2, 3 : 피연산자, 항
2) 연산자의 종류
산술 연산자, 단항 연산자, 비교 연산자,
논리 연산자, 쉬프트 연산자, 기타 연산자
3) 연산자의 우선순위
하나의 수식에 여러 개의 연산자가 있을 때,
어떤 연산자를 먼저 계산하는가에 결과가 달라질 수 있으므로
우선순위 알아둘 것
최(우선)>단(항)>산(술)>쉬(프트)>관(계)>(논)리>삼(항)>대(입)
연산자 우선순위 | 연산자 | |
높음 | | | | | | | | | | | | 낮음 |
최우선 연산자 | [ ], ( ) |
단항 연산자 | !, ~, +, -, ++ | |
산술 연산자 | +, -, *, /, % | |
쉬프트 연산자 | <<, >> | |
관계 연산자 | <, >, ==, != | |
논리 연산자 | &&, || | |
삼항 연산자 | (조건) ? 참 : 거짓 | |
대입 연산자 | =, +=, -= |
4-2) 산술 연산자
1) 산술 연산자의 종류
+ : 더하기
- : 빼기
* : 곱하기
/ : 나누기(홀, 짝 구분에 많이 사용)
% : 나머지
* 컴퓨터가 실수를 표현할 때 정확하게 표현할 수가 없음
: 무한한 실수의 갯수를 유한한 표현방법으로 표현하기에는 한계가 있기 때문
=> 실수의 오류
4-3) 단항 연산자
1) 단항 연산자의 정의
항이 1개인 연산자
2) 단항 연산자의 종류
부호 연산자(+, -), 논리부정 연산자(!),
증감 연산자(++, --)
[1] 부호 연산자(+, -)
: 변수 앞에 붙어 변수의 값의 부호를 변경
[2] 논리 부정 연산자
: 논리형 변수 앞에 붙어 변수의 값을 변경
[3] 증(가)감(소) 연산자
: 부호에 따라 변수의 값을 1 증가(++)하거나 감소(--)
증감연산자의 사용 방법
전위형 : 연산자의 위치가 앞, 변수의 값 증가(감소) 후 변수의 값 사용
: ++변수명, --변수명
후위형 : 연산자의 위치가 뒤, 변수의 값 사용 후 변수의 값 증가(감소)
: 변수명++, 변수명--
4-4) 비교연산자
1) 비교 연산자(== 관계연산자)의 종류
비교연산자는 연산의 결과값이 항상 논리값(true/false)
종류 | 연산자 | 연산자 사용 방법 | 설명 |
같다 | == | a == b | a와 b가 같으면 참 |
작다 | < | a < b | a가 b보다 작으면 참 |
크다 | > | a > b | a가 b보다 크면 참 |
작거나 같다 | <= | a <= b | a가 b보다 작거나 같으면 참 |
크거나 같다 | >= | a >= b | a가 b보다 크거나 같으면 참 |
같지 않다 | != | a != b | a와 b가 같지 않으면 참 |
문자열 비교 시
== 등가비교연산자를 사용하지 않는다.
String 문자열클래스 안에 있는 메서드(기능) : equals() 사용하여
'문자열.equals(비교문자열)' 로 비교
문자열은 대소문자 구분됨
'멘토씨리즈 JAVA' 카테고리의 다른 글
6강 연산자3 (0) | 2022.04.21 |
---|---|
5강 연산자2 (0) | 2022.04.21 |
3강 변수와 상수 (0) | 2022.04.20 |
2강 출력 메서드와 입력 메서드 (0) | 2022.04.20 |
1강 자바의 시작 (0) | 2022.04.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