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전체 글 (214)
열심히 끝까지
두강의 Generics https://www.youtube.com/watch?v=n28M8iryFPw [Generics - 타입문지기] - Generic? : 다양한 타입의 객체들을 다루는 메서드나 클래스에 컴파일 시의 타입 체크를 해주는 기능 ex ) List stringList = new ArrayList(); stringList.add(1); > 클래스명 뒤에 꺽세에 타입 매개변수가 추가 되는 것 >> T : 타입 매개변수 >> Box : 제네릭 클래스 예시 ---- public class Box { List items = new ArrayList(); public void add(T item) { item.add(item); } } >> T가 전달이 되면 아래의 T들에게도 공유가 됨 : Strin..
라이언의 애자일 https://www.youtube.com/watch?v=3y5rCRys4t0 >> Agile Software Development (iteration with the customer) - iteration 단어 기억 - 소프트웨어 개발 프로세스는 어디서부터 왔는가 - 퀄리티 컨트롤(백그라운드 이야기) - product-centric(제품중심적인 관점) - process-centric(과정중심적인 관점) : 흔히 아는 소프트웨어 개발과정은 Process-centric 방식 >> 즉, 프로세스 중심의 개발 과정 : 옛날 제조업계 퀄리티 컨트롤 == product-centric(상품 중심적인 방법론) 방식 > 주기적으로 상품의 아웃풋을 테스트 > 필요하면 공장에 수정할 부분 요청 >> 제품 ..
해리&션의 MVC 패턴 https://www.youtube.com/watch?v=uoVNJkyXX0I 1. MVC 패턴? : 디자인 패턴 >> SW개발방법을 공식화 한 것 >> 결론 : Model & View & Controller 애플리케이션을 3가지 역할로 구분한 개발방법론 - MVC 패턴 이전 "모델 1" [웹 어플리케이션의 아키텍쳐 : 모델 1] 구성 : JSP + JavaBean(Service) 뷰와 로직이 섞임 장점 : 구조가 단순 단점 : 출력과 로직 코드가 섞여 JSP코드가 복잡. 프런트와 백엔드가 혼재되어 분업에 용이하지 않음. 유지보수가 어려움 - MVC 패턴 이전 "모델 2" [웹 어플리케이션의 아키텍쳐 : 모델 2] = MVC와 비슷 구성 : JavaBean(Service)(M) +..
제리의 MVC 패턴 https://www.youtube.com/watch?v=ogaXW6KPc8I -MVC 패턴이 생겨난 이유? > 과거를 생각해보자.. : 과거에 프로그래머들이 수많은 프로그램들을 만듦 : 프로그래머들이 코드가 많아지면 많아질수록 복잡 >> 코드 파악 어려움 >> 기능 수정 시 코드를 갈아 엎어야 하는 경우가 많음 >>유지보수에 어려움을 겪음 : 프로그래머들이 코드를 짜다보니 >> "~ 구성이 편하다"라는 패턴이 탄생 : 규칙성들이 조금씩 보이기 시작 >> 패턴을 하나의 공식으로 만듦 >> 논문으로 발표 + 많은 프로그래머들 사이에서 MVC 패턴이 유명화 >> 결론 - 코드에 대한 유지보수를 어떻게 하면 편하게 할 수 있을까를 고민하다가 탄생하게 된 패턴 중 하나 - 유지보수가 편해지는..
[우아한 테크코스] 루피의 우아한 테크코스 도서관리시스템 https://www.youtube.com/watch?v=PCXlgnYekBg 제한된 환경에서 서비스를 강제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함? >> 서비스 개발에 있어.. 서비스 기획 -> 구현 -> 배포 -> 서비스 운영 -> 유지보수 -> 이용자 피드백 반영 아무도 안하는 것 같아 혼자서 와이어프레임을 작성.. [5인조 팀과 함께..] 1. 전략 수립 - 장소를 조회, 검색 기능을 빠르게 구현하고 배포 => 시장 선점, 진입 장벽 구축 - UI, UX에 익숙해진 사용자에게 추가기능 구현 및 배포 => 시장 장악 2. 뭘로 만들지? - QR코드를 사용하니 앱? => 깔기 귀찮고(만들기도) 본인을 더 불편하게 할 수 없음 - 웹? => 가능한지 모르겠음...
>> 내가 보기 편하게 올리는 것 6/28------------------ 팀 프로젝트 1일차 첫날 1. 팀명 결정 >>결정 : 2quals 2. 첫 프로젝트 - 자판기 정하기 >> 미결정 > 29일 오전까지 예상콘솔출력 짜오기 6/29------------------ 팀 프로젝트 2일차 1. 첫 프로젝트 - 자판기 정하기 >> 결정 : 포켓몬빵 자판기 2. 파트별로 채팅을 열자 허점이 많다 >> 유통기한을 넣는 것(제거) >> New 100이상이면 띄우기(보류 + update) >> new를 옮길까? >> 계속 new를 띄울까? >> 띠부실 넣자(사진 출력)(보류) - update때 넣자 >> 2종류 random 1% 99% >> 메뉴 추가로 체인지 - VO 포켓몬빵 private int num // ..
>> StudentVO package model; public class StudentVO { private int sid; private String name; private int score; public int getSid() { return sid; } public void setSid(int sid) { this.sid = sid; } public String getName() { return name; } public void setName(String name) { this.name = name; } public int getScore() { return score; } public void setScore(int score) { this.score = score; } @Override p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