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전체 글 (214)
열심히 끝까지
수업 - 오늘로 자바의 내용 끝!!!!! 자바가지고 헤매는 일은 없어야 할 것 찐찐찐막 여기에 쓰여있는 것은 틀리면 안된다!!!!! ★ 주석 - 잘 달 것!!! ★ 줄 정렬 잘 할것! ★ 잘 안풀린다? >> 무조건 스도코딩 ★ 했는데 잘 안풀린다? >> 디버깅표 / 그림 잘 활용할 것 ★ (정렬, 탐색, 랜덤값 중복제거) >> 확실하게 하고 가자! >> 많이 사용된다. ★ 오버로딩, 오버라이딩 ★ OOP 특징 4가지 1. 추상화 2. 상속 3. 캡슐화 4. 다형성 ★ Object ★ 추상클래스, 인터페이스 >> 오버라이딩 강제하는 것 ★ 컬렉션 프레임워크 ArrayList, Map(웹개발) Map도 잘 잡아두어야 한다!!! ★ 예외처리 -> 캡쳐 + 구글링 + 포스팅 >> 예외 발생 시 바로 이동 ★ *..
강사님 코딩문제 다른 정수, 글자들도 넣어보고 한번 console에 출력해보기 ---------내 방법 package class03; import java.io.File; import java.io.FileInputStream; import java.io.FileNotFoundException; import java.io.IOException; public class Test021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File file = new File("D:\\0607RYO\\resource\\test.txt"); try { FileInputStream fis = new FileInputStream(file); int data; while((data = fis...
[6/27 시험과 관련된 수업] [forEach문] 원래 index로 접근해 출력하는 방법 밖에 없었다. 근데 forEach문은 단번에 출력하는 것을 가능하게 해준다 data의 값을 잠시 받아오는 일시적 공간을 만들어 사용 이 scope가 끝나면 메모리 해제 콜론 하나로 영역을 두개로 나눈다 데이터의 집합이면 어떤것이든 사용 가능 v++과 같은 것이 숫자에 영향을 끼치지 않는다! [이터레이터] Iterator itr = al.iterator(); -> 복사체 모든 데이터 집합이면 사용 가능 iterator라는 메서드는 iterator가 나오는 값, 이름의 클래스(자료형)존재 ex) while(itr.hasNext()) { System.out.println(itr.next()); } ------------..
시험풀이! [오답만 오답풀이체크] 문제는 pdf로 저장되어있는 것 사용 1. 3번 2. 2번 3. 1번 4. 4번 5. 4번 6. 3번 7. 3번 1 11. 자식이 부모를 상속받으면서 공개범위를 더 좁혀버리는 것은 불가능 부모격인 object가 퍼블릭이였었는데 private를 벗겨야한다 혹은 부모의 것을 가져가야하기때문에 하이딩 시키는 것도 맞다. 12. 3번 13. 제네릭이 없다... 제네릭 추가 object 5 (2)로 최초생성하고 나서 더 추가하면 또 2개를 더 추가한다. 경향성 일반적으로 ()에 무언가를 작성하지 않는다. forEach문 for(저장된 데이터의 자료형 변수형 : 데이터 집합) for(int v: data){ System.out.println(v); } public class Tes..
문제 요구 조건 1. AL 생성(ArrayList) 2. -1, 0, 1, 2, 3 을 저장! 3. 정수 입력(인덱스 넘버 입력받기) 4. 0을 입력하면 -1이 나옴 1을 입력하면 0이 나옴 10/?의 결과값을 출력해주세요! double타입으로 출력! 5. 이때 발생 가능한 예외를 처리해주세요! (최소 2개) ----문제 해결 package class02; import java.util.ArrayList; import java.util.InputMismatchException; import java.util.List; import java.util.Scanner; public class Test031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List al = new A..
[예외와 예외처리] 정수만 입력해야 하는데 문자를 입력해서 뜨는 빨간 글을 막을 방법 없나요? >> 없다.. >> 이것을 예외(Exception)이라고 한다!! - 예외란? >> 문법상으로는 문제가 없었는데, 실제로 수행해보니 발생하는 문제! >> 실행중에 예외가 발생하게 되면 프로그램이 즉시 종료!! > 이때 지연(delay)와 종료는 완전 다르다! >> 예외가 발생하면 프로그램이 즉시 종료되기에 개발자들에게 개빡치는 상황 발생...ㅋㅋㅋ; > 이 때 예외처리를 해주어야 한다 - 예외처리의 목적 >> 프로그램이 즉시 종료되는 현상을 방어!! ※ 예외발싱 시 할 일 ※ 1. 어떤 타입의 예외인지 파악(예외도 클래스화 되어있다!) 2. 예외가 왜 발생했는지 원인을 파악할 것! -> 설명 참고해볼것 ex )..
-------------강사님 문제 ArrayList al 생성 al에 데이터 넣어주세요! 1~9까지 랜덤으로 값 생성 생성된 값 중에서 홀수인 것만 al에 저장 al의 요소의 개수가 5개가 되면 종료 종료되면 저장된 값 출력하고 저장된 값들의 총합 출력 나누기 2 까지 해주세요~ package class01; import java.util.ArrayList; import java.util.Random; public class Test02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Random rand = new Random(); // 랜덤으로 숫자 생성 ArrayList al = new ArrayList(); int i = 0; // al의 배열 인덱스 지정 int s..
[오늘 수업] [ 컬렉션 프레임워크 ] ㄴ> 프레임워크 : 틀, 뼈대 - 제작자의 편의성이 증가된다. >> 만드는 사람이 편하다!(개발자를 위한 것) - 틀과 뼈대를 기업이 제대로 제공해주면? >> 유지보수가 용이하다 - 제작자들의 실력이 상향평준화가 된다. >> 좋은 틀(프레임워크)이 잡혀있으면(제공받으면) 그 틀을 제작자(개발자)가 배운다 >> 배우면서 제작자(개발자)의 실력이 증가한다. >> 프레임워크의 "사용법"이 중요하다!(써먹는 법이 중요) : 언제, 어떻게해야 효율적으로 사용하는지를 연구하는 것이 중요 : 메서드 자체를 공부하는 것이 아니다!! >> 언제 사용해야하는지? 어떻게 사용해야하는지? 등을 연구하는 것이 중요하다! ex ) List, Map, Set(집합), Stack(자료구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