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전체 글 (214)
열심히 끝까지
[ 프레임워크 ] 개발을 어떻게 해야하는지 아웃라인을 제공 > Spring 프레임워크 a) 프레임워크를 사용하기 때문에 개발시간 단축 b) 관리가 용이 == 유지보수 용이 c) ★ 개발자들의 실력이 상향 평준화 d) "IoC와 AOP를 지원하는 경량의 프레임워크" IoC 제어의 역행 -> 낮은 결합도 AOP 관점지향 프로그래밍 -> 높은 응집도 경량 -> 원래는 .jsp .servlet [ IoC - 제어의 역행 ] Inversion of Control 설명 -> ㅁㅁㅁㅁㅁㅁㅁㅁ -> 설명 insert.do 요청 -> new InsertAction() (=> FC에서 작성됨) new InsertAction(req, res); >> 유지보수 불리... >> 이 문제를 container에게 맡김 >> 컨테이..

>> HELP -> Eclipse MarketPlace 1. sts 플러그인 검색 및 설치 2. Spring프로젝트 생성 3. general > editors > text Editor > spelling utf-8 4. 나머지 언어(CSS Files, HTML Files, JSP Files)도 할 것 utf-8할 것 5. spring legacy project project 이름 test > templates 다 제공되어 있음 > spring mvc project 선택 > 무시하고 yes 누르면 됨(안뜨기도 함) > 3계층 이름 정하라고 제공 com.ryo.app == 서비스.회사.어떤 프로젝트 6. 잘 만들어지면 S자가 들어가 있음 > 아무 문제 없어도 빨간색 뜸 - 무조건 빨간색 들어오기 때문에 그냥..

제작 기간 : 24일 개발 환경 : 이클립스(JDK 11), 톰캣(Tomcat v9.0), MySQL -------------------------------------------------------- 22/08/16(수) 1차 회의 - MVO 결정, 요구사항 분석(기능, API), 테이블, USERFLOW(페이지 개수) 22/08/17(목) 2차 회의 - table 칼럼 설정 + VO 설정 22/08/22(수) 개발 진행 22/08/23(화) 3차 회의 - 관리자 기능, 리뷰페이지, 더보기&페이징처리 사용할 페이지, 상품 구매 목록 STYLE 22/08/25(목) 4차 회의 - 더보기는 버튼 지정, BUYLIST VO 추가(TABLE이 아님), 아코디언식으로 내용 22/08/30(화) 5차 회의 - ..
>> 이미지 미리보기 - 이미지를 올리면 아래에 이미지를 띄울 예정 - 이미지 소스를 넣기 위해 id로 줄 것 >> js로 줄 예정 >> onchange 되었을 때, 사진 가져오기 ======================================= >> JS와 AJAX 사용 1. 화면 깜빡임(C 방문) == 서버 사용 > 화면 깜빡임(C 방문) 없이 DB 데이터가 필요하면 -> .ajax() == 비동기처리 2. 화면 깜빡임(C 방문)없이 어떤 기능을 수행해야할 때 -> .JS == 프론트


[ 이미지 업로드 ] >> 제품 등록할 시에 사용 1. cos.jar 필요함 import가 되지 않음으로 외부 jar 파일 필요 2. MultipartRequest mr = new MultipartRequest(); (request,path,maxSize,UTF-8,new DefaultFileRenamePolicy()); > path : 사용자가 업로드시도한 파일을 어디에 저장할 지, 복붙해내는 식으로 동작 > maxSize : 바이트 단위 대부분 100000으로 한다고 함 > UTF-8 : 파일 정보를 읽어들여서 복사 붙여넣기 하는 것을 > new DefaultFileRenamePolicy() : 파일 정보를 읽어들여서 복사 붙여넣기 하기 위한 객체 데이터 자체를 보낼거야 데이터 받아서 지정한 위치에 ..
AJAX 아이디 중복검사 인증 좋아요 추천/비추천 찜 . . . => 비동기처리 : 서버의 별도 방문 없이 바로 바뀌는 것 >> 이미 데이터의 로딩 완료 : 서버 방문을 안하기 때문에 페이지의 내용이 유지 ※ AJAX는 Spring에서는 @ 설정으로 진행되는 것이 일반적 > JSP에서 사용하는 방식을 소개할 예정 >> 많이 쓰이는 방식은 아님! ★name 속성 vs id, class 속성 - name 속성 파라미터명 request.getParameter("name에 작성된 값"); ${param.name에 작성된 값} - id, class 속성 CSS, JS에서 사용하기 위해 붙인 이름 #id명 .class명 웹 크롤링 등에서도 이용됨 id : 유일한 요소에서 사용 class : 다수의 요소에 공통적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