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전체 글 (214)
열심히 끝까지
창 닫기 >> 다시 연결하여 창 닫기 진행할 것 >> 두가지 닫기 (글자, 버튼) 둘 다 잘 작동 >> 코드 회원가입 완료 회원가입을 완료했습니다. 닫기를 눌러 돌아가세요. 닫기 > script사용 >> (브라우저)마다 해석 방식이 다름 >> ajex를 써서 비밀번호가 유효하지 않음.. 이라고 출력하는 것이 더 빠름 >> 글자를 띄우는 것이 더 흔함 > js는 브라우저마다 해석이 다름 > .html, .jsp, .ajex 등등 -> View를 위한 언어 >> Model, Controller에서는 다루지 않는 것이 맞음 >> forward.setRedirect(); if(dao.insert(vo)) { forward= new ActionForward(); forward.setPath("main.do"); ..

--------------------- --------------------- V : EL식 / 커스텀태그 / JSTL M : 리스너 / 트랜잭션 C : 필터 FrontController(FC) [ C - FrontController 패턴 ] MVC 패턴 + FC 패턴 => MVC 모델 2 MVC 패턴 : JDBCUtil을 이용해서 db와 관련된 일을 해냄 = ~.java로 작업 M : .java V : .jsp -> JAVA 코드가 없어야 함 C : ctrlB.jsp | ctrlM.jsp >> .jsp에서 작업한 C는 결합도가 높음... -> 분할 관리 => FC 서블릿 파일을 생성해서 관리 -> .jsp vs .java = 분할 관리 시, .java 이용하는 것이 맞음! : setProperty 액션..
>> 지난 번 과제 해설 1. cnt=2(index.jsp) 글 -> 메인 댓글, 좋아요 -> 현재 글 기억해야 할 필요가 있으므로 forward 사용 2. 더보기 index 메인페이지 - 메인으로 그 뒤로 변경된 사항 1. 로그인, 글&댓글 작성/삭제 부분 2. 회원가입을 위한 새 창 띄우기 3. 더보기 개수를 ctrlB에서 지정 >> 변경된 후 추가/변경 코드 ctrlB.jsp-------------------------- > 바뀐 부분---- String paramCnt=request.getParameter("cnt"); if(paramCnt==null) {// cnt 파라미터에 정보가 있어? bVO.setCnt(2);//없다면 기본값(2)으로 설정해줘! // -> 향후 초기화 매개변수로 설정도 가..
[오늘 수업] [설계] 1. 어떤 서비스를 만들지? ex ) - sns(반응형에 맞는 UI) - 커뮤니티(댓글, 대댓글 테이블 관계) - 쇼핑몰(장바구니) >> 타겟 사이트 사전 조사(벤치마킹) - 기존에 이게 안좋아서 이걸 바꾸었다 라고 하는 것은 감점 사유, 유명하게 서비스 되는 것들은 이유가 존재 그 이유에 대해 조사하는 것이 중요 저는 이 사항을 이렇게로도 사용해보았습니다 라고 어필하는 것이 중요 - 유효성 검사, UI/UX - 최종적으로 구현할 기능 2.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필요한 데이터 생각해보기 - 테이블-테이블 관계 고려 - 제약조건 설정 ----------------------- 컨펌 받을 준비 끝 3. 페이지 개수 4. 테이블 개수 ----------------------- 코딩 준비..
[오늘 수업] V : 커스텀태그, JSTL, EL식 M : JDBC, MYSQL, ORACLE, TRANJECTION, 리스너 C : 필터 >> 오늘의 수업 : 리스너, 필터 - 서블릿 상위 클래스 아래에 리스너, 필터 존재 - 각자 모델과 컨트롤러에서 사용(주로 활용되는 공간) [리스너] : 초기화 매개변수(키워드) - JSTL에서 사용한 경험 존재 - 현업, 포폴에서 많이 등장하는 개념은 아니라서 설명을 안했지만 다른 사람의 소스코드에도 나오기 때문에 익혀 놓을 것 >> 질문도 나왔고해서 포함 시켜서 설명 - 조심해야 하는 단어 : "초기화 매개변수" >> 초기화 매개변수 : 프로그램을 동작을 시키거나 수행을 시킬 때, 꼭 필요한 정보가 존재(ex ) url, id, pw, db...(경로)) 일반적..

[트랜잭션] - Model 파트 >> 트랜잭션이 어디에 쓰이고, 코드를 쓰지는 않고 블로그에 개념정리를 제대로 할 것 어디까지 적용하는 지 기억하는 것이 좋음 개념 : 하나의 작업의 처리 "단위" (단위라는 것 중요) >> 작업의 단위 ex1 ) >> 양산형 폰게임 ++++++++++++++++++++++++++++ 결제 - 기능 사용자테이블 보석컬럼 +5000 ++++++++++++++++++++++++++++위에까지가 1 트랜잭션[하나의 단위] 아이템 구매 - 기능 사용자테이블 보석컬럼 -1000 => T 사용자 인벤토리 +아이템 => F ++++++++++++++++++++++++++++위에까지가 1 트랜잭션[하나의 단위] ex2 ) >> 카카오페이/배민페이 -> 10시에 열리는데 9시에 주문했다고..